Base, Coinbase’s Ethereum layer-2 network, experienced a 33-minute block production halt on Aug. 5 due to a backup sequencer not fully prepared to handle transactions.

Incident Timeline

At 6:07 a.m. UTC, Base’s main sequencer began falling behind on block production, prompting the Conductor system to switch to a backup sequencer. However, the backup was still undergoing setup and failed to process blocks, Base Build explained.

The core team quickly responded, restoring operations by 6:40 a.m. UTC. Additional time was spent confirming no chain reorganization was required.

Centralization Concerns

The event highlighted Base’s reliance on centralized sequencers as a potential single point of failure. Despite running multiple sequencers, the system depends on Conductor’s management to ensure uptime.

Base, which currently holds more than $4.1 billion in total value locked (TVL), said infrastructure updates will ensure all sequencers in the cluster are block-production-ready.

Community & Market Reactions

Head of engineering “aflock” said Base is committed to network reliability, adding, “We can’t power a global economy without a solid backbone of a network.”

Some industry commentators even called it a “bullish downtime,” noting only networks with real user bases get criticized for outages. Solana, another fast network with a history of outages, was compared favorably as both blockchains remain among the most-used by retail users — with Solana at 2.83 million active addresses and Base at 1.09 million.


[위클리블록체인] 베이스, 33분간 거래 중단…시퀀서 오류가 원인

코인베이스가 개발한 이더리움 L2 네트워크 베이스(Base)가 8월 5일 33분간 블록 생성을 중단하는 사고를 겪었다. 원인은 준비가 되지 않은 백업 시퀀서(sequencer)로 전환된 것이었다고 밝혔다.

사고 경과

오전 6시 7분(UTC) 활성 시퀀서가 블록 생성 속도가 늦춰지자, 시퀀서 관리 시스템 컨덕터(Conductor)가 자동으로 백업 시퀀서로 전환했다. 하지만 해당 시퀀서는 아직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였으며, 결국 블록 생성을 이어가지 못했다.

베이스 팀은 즉각 대응해 오전 6시 40분에 정상화했으며, 체인 재조직(chain reorganization) 여부도 추가 점검해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했다고 전했다.

중앙화 의존성 문제 노출

이번 사건은 베이스가 여전히 중앙화된 시퀀서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시퀀서 다중화가 적용되어 있지만, 컨덕터 관리 시스템이 단일 장애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베이스는 41억 달러 이상의 총 예치 자산(TVL)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사태 이후 모든 시퀀서가 블록 생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보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커뮤니티 반응

개발 총괄 ‘aflock’은 “글로벌 경제를 지탱하는 네트워크로 성장하기 위해 안정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문제 해결 과정과 향후 보강 계획을 공유했다. 일부 업계 인사들은 “사용자가 실제로 많은 체인만이 다운타임 논란이 된다”며 베이스 사용자 기반의 성장을 긍정 신호로 해석했다.

솔라나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는 잦은 장애 논란에도 불구하고 활발한 사용자 활동을 보이는 체인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솔라나는 2.83백만 활성 지갑으로 2위, 베이스는 1.09백만으로 4위를 기록하고 있다.


Follow Us

Website: https://cms.weeklyblockchain.co.kr/

Naver: https://blog.naver.com/weeklyblockchain

Medium: https://medium.com/@weeklyblockchainofficial

X: https://x.com/WKLYBLCKCHAIN

Binance Square: https://www.binance.com/en/square/profile/wb_global

LinkedIn: https://www.linkedin.com/company/weeklyblokchain

Linktree: https://linktr.ee/WeeklyBlockchain

#CryptoNews #Base #Ethereum #CryptoMarket